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독자기고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적선여경(積善餘慶)
토장 기자 / 입력 : 2010년 08월 23일(월) 13:08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옛말에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 못 한다’라는 말이 있다.
 흉년이 오고 천재지변이 나서 온 나라가 극심한 어려움에 처 하거나, 학정(虐政)과 사회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밑바닥을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나라에서도 일일이 대처하기 곤란하다는 얘기다.
 그래서 서로 돕고 나누는 사랑의 실천이 필요하게 된다.

 주역(周易)의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를 해설한 문언전(文言傳)에 “적선지가 필유여경 (積善之家 必有餘慶)”이란 구절이 실려 있다. 선한 일을 많이 한 집안에는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다는 뜻인바, 여기에서 여경(餘慶)은 선한 일을 많이 한 보답으로 자손들이 받는 경사를 의미하며 조상의 음덕(陰德)과도 비슷한 말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적선지가(積善之家)는 경주의 최 부자 집안, 논산 파평 윤씨 윤증(尹拯)집안, 구례의 문화 유씨 집안 등이 있는데, 이들 가문의 공통점은 남을 배려하고 적선을 몸소 실천한 가문이라는 점이다.

 그 외의 집안들도, 인간의 본성은 선(善)이라 하여 내면적 도덕론을 편 맹자(孟子)의 영향에 따라, 선비의 덕목은 배려와 배품에 있다고 생각하고 그 실행을 위해 애써 왔다.

 충청도의 명문가이며 동방 18현 중 한 분인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아버지 김계휘(金繼輝)의 고사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김장생의 집에 제사가 도래하여 푸줏간에서 돼지고기를 사왔는데 고기가 상했던지 그 고기를 몰래 훔쳐 먹은 개가 죽자, 머슴을 시켜 2~3마리분의 돼지고기를 전부 사오게 한 뒤 땅에 묻어 버렸다. 혹시나 동네사람들이 상한 고기를 사먹고 탈이 날까봐 미리 대처한 선의 실행이다.

 삶이 불안해지면 먼저 적선을 생각해야 함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점(占)을 보고 부적을 붙이며 액땜 푸닥거리에 힘을 쏟는다. 또한 적선을 금전적인 것과 연관 지어서 넉넉한 위치에서만 실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살기 힘든 사람, 없는 사람들이 행하는 적선이야말로 진정이 담겨 있다.

 있는 자들이 하고 있는 과시적인 적선을 열외로 하고 살펴본다면, 힘들어도 더 불행한 사람을 위하여 남모르게 묵묵히 적선을 행하고 있는 사람은 의외로 많다. 정읍 버스터미널 옆, 체 두 평도 안 되는 가게에서 라면을 끓여 파는 가난한 부부는 고달픈 삶 속에서도 일주일에 한 번씩 양노원이나 고아원, 독거노인을 찾아 없는 형편에 먹거리를 사고 가족이 되어주며 힘든 가사까지 거들어주는 일을 거르지 않는다.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에 영원이란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다. 유한의 세계를 살아가면서 힘없고 나약한 사람들의 편에 서서 그들과 함께 울고 웃는, 진정한 친구와 형제가 되어 줄 때 세상은 그런대로 살맛이 나지 않겠는가.

 적선하는 사람은 귀신도 건들이지 않는다 했으니 따뜻한 미소와 다정한 말 한마디로라도 선을 쌓아서 인간의 도리요 하늘의 뜻을 언제든지 실행하고자하는 마음이 충만했으면 한다.

토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창군 팀장급(6급) 인사발령(전보) 사항..
정읍시 5급 이상 승진사항 발표..
고창지역 농협 일가족 5명…전북대 고창캠퍼스 재학생도..
고창신활력산단 첨단산업 기업 속속 유치…3개 기업 1900억..
정읍시 6급 이상 인사발령 사항..
고창군 5급 이상 전보 인사발령 사항..
2025년 고창군 본예산 8494억원 의결..
정읍시, 종합청렴도 2년 연속 2등급 달성..
고창군, 종합청렴도 평가 1등급 달성..
[청렴도] 고창군의회 2등급, 정읍시의회 3등급..
최신뉴스
유덕근 고창농협장, 조합장직 사퇴 ‘번복’..  
김사중 고창부안축협장, 선거법 위반 당선무효형 확정..  
강풍 탄 산불, 정읍 금동마을 덮쳐..  
꽃비 내리는 석정에서, 봄날의 기억을 걷다..  
[인터뷰] 고창군 생활개선회 제16대 김현자 회장..  
고창 바지락 집단폐사, 새만금 이후 반복된 경고..  
“사시사철 김치, 고창에서 시작된다”..  
정읍에 유아 전용 안전체험장 들어선다..  
유기동물에게 따뜻한 정읍…입양 지원부터 펫티켓까지..  
봄의 절정, 정읍에서 만나다..  
“다름있소, 함께하오”…고창에서 피어나는 공존의 무대..  
정읍 감곡 들녘에 피어난 변화…기계화와 국산 품종이 이끄..  
정읍시 대표단, 독일 뮐하우젠 공식 방문…세계 혁명도시 ..  
정읍시, 한국가요촌 달하에 맨발걷기길 조성…9월 준공 목..  
옛 정읍우체국 철거 착공…도시광장으로 재탄생..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