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여 서방, 목계 선생은 평안해 보이시던가요?” “예, 아주 태평하시게 보입디다. 그래도 간혹 한숨을 쉬시는 것을 보니 고운 임을 이별하신 것 같습니다. “몸 성히 잘 가시니 고맙군요.”
은대선은 장차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며 그동안 적어준 시와 서신을 모두 모아 병풍을 만들었다. 그리고 보고 싶을 때만 살며시 열어보며 옛 회포를 달랬다.
그 후 강혼은 한양에서 전과 같이 선비들과 재미있게 놀았다. 세상에서는 강혼을 후회도 하지 않는 사람이라고까지 말했다. 그는 호탕한 일면이 있어 지방의 감사로서 동헌 상방에서 수청하는 기생을 데리고 하룻밤을 지냈다. 그런때면 비장이나 이속들이 그의 숙소 근처에서 대령한다.
“영감이 지금 관기와 주무시고 나온 후에 어느 젊은 사람이 그 방에 들어가 기생을 간하고 있소. 그 간부를 잡아 오리까?” 흥분한 어조로 말하는 게 무슨 일이라도 낼 듯했다. “아니다. 다시 아무 말 말아라. 사실은 지금 들어간 사람이 기생 서방이다. 그자의 물건을 내가 잠시 빌린 셈이다. 내가 간부가 된다.” 강혼은 이렇게 말하고는 껄껄 웃었다.
관아의 관기야말로 각각 자기 남편이 있다. 이러한 것을 점잖은 양반네가 세력으로서 겁탈하는 것이었다. 강혼은 사실상 기녀를 많이 울린 사람이었다.
나이 들어 한양에서 좋지 않은 평을 받게 되자 강혼은 자기 고향으로 내려가게 되었는데, 이때도 역시 기첩을 데리고 갔다.
청주로 내려갈 때 아무래도 이번 길이 마지막 같았다. 길을 떠나니 전날 은대선의 생각이 났다. 청주 목사가 나와 그를 대접하며 며칠이고 묵어 가라 했다. 저녁이 되어 주연상이 벌어지고 청주의 선비들까지 모였다. 그중에 바른말 잘하는 선비 박충과 충청도 도사 박세희도 끼었다. 술이 거나하게 되어갈 무렵 두 사람이 강혼 곁에 다가앉았다. 한번 따져보고자 하는 눈치였다.
“영공은 사람들 사이에서 용납되지 못하고 있소. 응당 벌을 받아야하오.” 눈치가 수상했다. “나도 출세하기 위해 한 일이오. 어찌 잘못을 모르겠소.” “영공은 벌주를 받으셔야 하오. 이 큰 잔으로 벌주를 드시오.” 강혼은 큰 잔의 술을 쭉 들이마셨다. 취기가 돌았다. “영공이 지금 무사히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은 사론이 준엄하지 못한 까닭이오.”
젊은이에게 톡톡히 망신을 당하니 술기운이 더욱 올랐다. 젊은 두 사람도 취했다. 강혼은 그곳에 더 있을 수 없어 밤중인데도 나설 채비를 했다. 이때도 기생첩을 대동했다. 두 청년이 따라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