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 일 전교조 고창지회장 고창고등학교 교사
|
우리 나라 사람처럼 교육에 대해 말 한 마디씩 할 수 있는 나라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결같이 공통적인 것은 대학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을 개탄하면서도, 해당 지역의 교육 성공 여부는 누가 얼마나 많이 세칭 일류 대학에 보냈느냐가 기준이 된 상황을 직접 어떻게 바꿔야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 그저 학교 공교육이 알아서 하겠지 하면서 직접 나서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지금 우리 학생이 할 일이라곤 학교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이름난’ 대학에 진학하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는 것 같다. 변화에 대한 욕망이 큰 곳 중 하나가 교육 분야인 것만큼은 틀림없는데(이는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도 반증됨), 이렇다 할 대안이 없다는 것 또한 교육 분야이다. 그러나 스스로 물어보자 진정으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 중심으로 원하는 대학만 잘 보내면 그 지역의 교육은 성공한 것인가? 그리고 그 교육이란 것이 학교 제도권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전부여서 그 외 사람들은 그 지역 교육의 성패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운 것인가?
교육이라는 것이 아이들의 유의미한 성장을 위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모든 행위라고 본다면 교육은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하는 것이고 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 제출 역시 우리 스스로가 할 수 있어야 한다. 잘못된 방향으로 교육이 가게 된 것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 주체의 손에서 교육이 떠나 버렸고, 교육이 오히려 대상화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교육은 그 어느 누가 대신 해주는 것이 아닌데, 우리 스스로가 그 어떤 분들의 정책 속에서 구현되는 것이라 믿기 시작한 것에서 우리 교육의 비극은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이 비극의 종말을 맺기 위해서는 교육을 다시 우리 모두의 손으로 일구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랬을 때만이 모든 교육 제도나 정책, 내용의 선정도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교육의 장(場)은 어디든 될 수 있어야 한다. 학교 울타리 안만이 아닌 가정도 될 수 있고, 지역사회 곳곳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주체도 지역 주민 전체가 되어야 한다. 각 행정 기관도 될 수 있어야 하며, 시민 사회 단체도 될 수 있어야 하며, 언론사나 종교 단체, 봉사 단체, 모두가 가능하다. 교육의 방법 또한 다양하게 모색할 수 있다. 지역의 청소년들이 함께 모여 유의미한 경험을 하며,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으면 된다. 지역 차원의 각종 운동 시합(길거리 농구대회, 풋살 등)이나, 노래 자랑, 댄스 경연대회도 괜찮다. 군의회에서 학생 의회 운영도 할 만하다. 문학 캠프도 괜찮고, 산사 체험도 괜찮다. 봉사 센터를 만들어 학생들의 봉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의미 있게 운영할 수도 있다. 지역 차원의 교육 내용도 만들어 봄직 하다. 예를 들어 지역 문화나 지역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교재를 만들 수도 있고, 수업 내용을 구안해서 학교에 보급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도 있다. 더 마음먹고 체계적으로 일을 벌여 보자면 지역 차원의 교육 재단을 설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 재단을 통해 지역 내 다양한 기능들과 조화를 염두에 두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 모형을 만들어서 그 경험을 축적하는 것은 어떤가?
대안이라는 것이 우리 손으로 만들어졌을 때 진정한 대안이 될 것이다. 더욱이 우리 지역 차원의 교육을 우리 스스로 만들지 않으면 누가 대신해 줄 것인가? 이것이 혁신의 본질이고 이것이 진정한 변화가 아닐까? ‘교육’의 개념을 좁은 학교 공교육 내에서 그 어떤 누군가가 대신 해 주는 개념에 머물게 하지 말자. 우리 교육에 문제가 있다면 우리 스스로가 나서서 지역민 모두가 지혜를 모을 때 비로소 교육 문제 해답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