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에 열려진 마한땅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
방등한 산이 높아 인내가 흐르고 옥답이 열리니 모량부리, 송미지, 상로, 상칠현.
완연한 사기(四氣)에 다순 기운 넘쳐나 칠산어장 얻었으니 비단결에 꽃을 보탰네.
여기가 도원향(桃園鄕) 대대로 그 맥 이어내니 가히 지상의 낙원
역사의 수레는 눈길없이 굴러, 굴러 모로(山), 뫼, 산마루 몰랭이를 새김질하여 모이부곡, 모량부리로 열렸던 보릿고을 모양(牟陽)은 통일신라 경덕왕 16년에 높을 고 넓을 창으로 고집스레 맥을 이었는데 애초에 무령(武靈)원이 거느렸다가 고려초에 고부로 옮겨지더니 흥덕감무가 겸임하였다네.
송미지는 무송고을로 상로는 장사고을로 하여 무령의 영현으로 머물다가 조선 태종 17년에 합궁하여 무장을 열었지.
상칠은 상질로 고쳐 고부군에 딸렸다가 볼모의 의미가 싫어 장덕으로 바꿨는데 충선왕을 피해 창덕으로 고쳤고 또다시 창왕에 밀려 흥덕으로 개명했네.
무장은 방리(坊里)가 16개면으로 조선 헌종2년에 2등군으로 오르고 흥덕(興德)과 고창(高敞)은 각기 8개면의 방리로 고종32년에야 3등군이 되었지.
|
|
|
이기화 고창지역학연구소장
|
고창문화원장을 역임한 이기화 소장이 고창의 지명과 관련된 향토서사시를 격주로 연재한다. <편집자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