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매> 이창숙 글, 김호민 그림 우리교육 출판사
|
이농현상의 사전적 의미는 이렇다. “이ː농(離農)[명사] 농사일을 그만두고 농촌을 떠나는 현상”. 사전은 단어가 가진 의미 전달에 충실할 뿐이다. 건조하다. 의미독해를 가로막는 다른 요소는 다 빼버리기 때문이다. ‘이농현상’의 사전적 해석이 버린 것들에 대한 이야기다. 그 하나가 ‘오죽했으면 땅을 버렸을까’, 하는 안타까움이다.
그 안타까움의 이면에 산업화의 어두운 ‘성장신화’가 깃들어 있다. 산업화란 대거의 노동인력을 필요로 한다. 인구집약적인 우리나라에서 그 노동인력을 어떻게 ‘수급’했을까?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되, 인구는 줄이는 산업 구조조정을 통해 농촌 인구를 산업벨트 안으로 이주시키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증산을 통한 쌀값 안정화, 바로 ‘식량의 안정적 수급’이었다. 땅이라는 생산 기반을 버리고 이주한 도시이주민의 생활을 가능하게 했던 ‘아이러니’다. 이 두 가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것이 바로 ‘통일벼’였다. 질은 좀 떨어지되 생산량은 현저히 높은 ‘통일벼’, 대한민국 현대사를 읽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매』2010년 주목할 신인, 이창숙의 신작이다. “신인답지 않은 탄탄한 구성과 빼어난 문장력을 갖추었다”는 평과 함께 ‘제6회 우리교육 어린이책 작가상 창작 부문 대상’과 ‘2010년 대산창작기금’을 받았다. 『매』는 주인공 소녀의 오빠가 ‘서울대학교 법대’에 합격해 마을 잔치를 여는 것으로 시작한다. 떡메를 치고, 지지미를 부치는 마을 잔치의 정경이 눈에 보이는 듯 고스란히 펼쳐진다. 『매』는 우리 곁 광주에서 유년기를 보낸 작가가 펼쳐놓은 1970년대 농촌이 배경이다. 그 70년대 농촌은 먹먹한 추억의 장소가 아니라 치열한 삶의 현장이다. 가두어 기르던 매를 날려버리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주인공. 개인의 삶이 사회를 통해 어떻게 자리매김하는지, 우리 현대사를 통해 살피게 하는 책이다.
이대건(도서출판 나무늘보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