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기화 (고창지역학연구소장)
|
애당초 황산마을은 불교의 부흥기였던 조선 성종 초에 불심이 돈독한 남평문씨가 증산(甑山)에서 먹을거리를 찾아 설기하였다고 한다. 1470년대 후반에 죽산안씨(竹山安氏)들이 정착하였던 이곳은 고사면(古沙面) 지역으로 황산의 북쪽 잔등 넘어 외촌(瓦村)에서 기와를 굽기 위해 인근 산야의 수목들을 어찌나 베어다 불막을 채우다보니 시뻘건 벌거숭이 산이 되어 문씨들은 떠나고 근세에 이르도록 나무숲을 이고 살 수 없었다.
경기도 용인땅(陽智縣 蹄洞)에서 세거한 죽산안씨들이 입고창(入高敞)한 연유를 보면 매우 흥미롭다. 조선 세조 12년에 전라감사로 온 참판공 안초가 초도순시차 고창현을 살피려왔던 김에 고창윤씨 지평·윤호 (持平·尹瑚)와 교우한 것이 인연이 되어 그의 여섯째 아들 (司果 安子詮)이 지평공과 옹서간이 됨에 이를 빗대어 고사면 예지터로 입향하였다. 1580년대에 사과공의 증손 안복(安福)이 큰댁에서 분가, 황산의 남녘 기슭에 정착, 지금까지 16대를 내려옴에 세거지가 되어 자작일촌(自作一村)을 이루게 되었다.
장문치(長文峙)의 서북자락이 지네발 형국을 이루면서 황산고개에서 우뚝 멈춰서서 마당바우와 내바우들을 응시하면서 드넓은 황산벌을 조성하고 있다. 마을 뒷등에 서당골을 세워 문손들을 길러냄에 1800년 6월 정조 왕이 승하하자 안건(安建)은 단을 세워 3년상을 치룬 후 망북정(望北亭)을 지어 기렸으며 후손들의 효자각이 여러 곳에 세워져 문중을 빛내주고 있다. 1914년에 고사면은 수곡(水谷)면과 오산(五山)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고수(古水)면 지역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