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옥자원 활용 야간 상설공연
‘오동나무집 엿보기’와 ‘新도리화가’
안상현 기자 / 입력 : 2012년 04월 23일(월) 11:35
공유 :   
|
한옥자원을 활용한 야간상설공연 ‘오동나무집 이야기’와 ‘新 도리화가’가 오는 5월 18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42회에 걸쳐 매주 금·토요일 오후 7시 30분(체험마당 오후 2시∼5시)에 고창군 동리 신채효 고택에서 신명나게 펼쳐진다.
2012년 전북방문의 해를 맞이해 진행되는 이번 야간상설공연은 고창을 방문하는 관광객들과 지역민들에게 고창의 한옥자원과 문화유산을 소재로 고창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하고 특색이 있는 공연을 제공할 예정으로, 전라북도와 고창군이 주최하고, 고창예술단 ‘고창’이 주관하며, (사)고창농악보존회가 참여한다.
오동나무집 엿보기
첫 번째 마당 오동나무집 엿보기에서는 전북 무형문화제 제7-6호인 고창농악의 흥겨운 풍물 굿이 관객에게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고택을 중심으로 매굿(지신밟기)의 형태로 고택 구석구석을 풍물을 치면서 옛 고택에 얽혀있는 이야기를 해설과 더불어 관객과 함께 공감하고 체험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잡색을 활용 판소리 다섯 바탕의 인물들로 분장시켜 장소와의 연계성을 높이며, 단순히 관람만 하는 공연이 아닌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함께 할 수 있는 체험 형식의 무대로 이루어진다.
‘新도리화가’
두 번째 마당으로는 전통예술의 꽃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 선생과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명창인 진채선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를 판소리라는 전통예술양식을 통해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쉬운 대사와 가사로 재창작한 '新도리화가' 이다. 진채선의 파란만장한 소리인생과 동리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는 세대를 뛰어넘는 사랑의 이야기를 들려줄 것 이다. 역동적인 마당극(소리극)형식을 빌어 재담과 음악의 구성을 통한 관객과 함께하는 전통소리 공연과 현대적 감성을 더한 공연으로 이루어지며, 전통적 판소리공연의 큰 틀은 깨지 않으면서 빠른 전개로 극적효과를 높여 관객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오감만족, 체험의 즐거움 ‘얼씨구!! 좋다~’
체험마당에서는 투호놀이, 제기차기, 국궁, 판소리 등 다양한 민속놀이가 마련되어 부모와 자녀, 어르신들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불어 판소리 한 대목 따라 부르기, 고창사투리와 고사 성어 익히기 등 우리 전통과 향토성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진행된다.
고창은 황윤석 선생 고택, 백관수선생 고택, 김성수 선생 생가, 무장향교, 무장관아 등 우수한 한옥자원과, 신재효 고택 인근의 동리국악당, 판소리 박물관, 미술관, 고창문화의 전당 등 고창 인근의 풍부한 전통문화 콘텐츠와 문화시설 인프라가 발달되어 있다. 이번 한옥자원 활용야간상설공연 지역 전통문화 콘텐츠를 더욱 풍성하게 하여 고창을 방문하는 관광객들 소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연문의는 고창군청 문화예술과(063-560-2453), 고창문화의 전당(063-560-8041), 국악예술단 고창(063-564-4999)으로 하면 된다.
|
|
안상현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고창군의원, 여직원 상대로 부적절 행위 논란.. |
고창 청년임대주택 경쟁률 ‘12대1’…정주여건 개선에 청.. |
고창군 농작물재해보험, 단호박 등 10개 품목 확대.. |
고창 황윤석 생가, 국가민속문화유산 승격 시동.. |
‘변화와 성장, 미래를 여는 고창’을 위한 국가예산 확보.. |
몸과 마음이 회복되는 곳, ‘쉼의 플랫폼’.. |
미국 시장 누비는 고창 농특산품, 현지 수출 교두보 강화.. |
사계절 만나는 고창의 맛, 백화점 온라인서 활짝.. |
현장에서 답을 찾다, 김영식 고창군 부군수 취임 100일.. |
고창군, 도심 속 월곡 숲길 정비 완료…산책 명소로 새단.. |
“아이의 건강한 성장, 국산 농산물의 가치를 함께 키운다.. |
고창벚꽃축제 속 길 잃은 치매 어르신, 경찰 도움으로 가.. |
굿판이 깨어나는 밤, 고창이 흔들린다.. |
정읍 산업단지 복합문화센터, 일터와 삶터를 잇다.. |
시민이 만든 보물, 정읍의 내일을 밝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