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현의 옛날 고을터(縣治所)는 오태동이다. 흥덕읍에서 209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두어마장 거리에 있다. 오태동의 연원을 보면 천기설과 연계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652(孝宗)년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 문사로서 흥덕고을 훈장(訓長)으로 초빙된 울산인 김형유(金亨有)가 이곳에 서당을 세우면서 마을을 설기할 때 여러개의 별똥(流星)이 근동에 떨어져 다섯군데나 땅이 패인 것을 보고 느낀바가 있어 오태동으로 이름지었다고 한다.
1914년에 일제(日帝)가 자기네 편익을 위해 전통마을들을 임의대로 통폐합하여 법정리(法定里)를 설정할 때 오태와 신지뫼, 차독백이(石湖)를 망라하여 오호(五湖)리로 통합개편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다.
정조시대 호남실학(實學)의 거두 황윤석(黃胤錫)은 「이재난고」에서 오태(五泰)를 오질태(五叱泰)로 표기하고 흥덕의 옛이름 상칠(上漆)은 ‘옷타’의 한자 상징어로써 취음(取音) 표기인 ‘五泰’ ‘五叱泰’로 표현한 것이라며 토성(土城)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상칠현 시대의 현청(縣廳)터는 오태동이 확연하다는 것이다.
상칠(옻타· 타)의 ‘漆’자는 검다는 상징의 뜻으로서 옻칠하는 고을이 되어 천민의 고장이 됨으로 통일신라의 경덕왕 16년(757년) 지명개편 때 고을이름을 상질(尙質)현으로 바꾸고 현청을 흥덕읍내로 옮겨 오늘에 이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