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두리(星斗里) 이야기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입력 : 2012년 05월 21일(월) 13:38
공유 :   
|
모양성의 성머리는 북극성좌와 일치해 있었다. 성두리는 북두(北斗)와 남두(南斗)를 아우르는 중성공두(衆星拱斗) 형국의 지세를 이루고 있지만 본래는 성두(城頭)마을이었다.
고흥류씨의 입향조 유춘영(柳春英) 공의 사적비를 보면 1570년대 전라감사 박민헌(朴民獻)이 쓴 비문에 성두촌(城頭村)으로 표기한 것을 보면 이는 극명한 역사적 사실임을 입증해 준 사적인 것이다.
성두리는 상성(上星), 중성(中星), 하성(下星)의 세 뜸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1914년 전국행정구획을 개편할 때 천북(川北)면이 고창면에 합병되면서 성두와 옥동(玉洞)을 병합하여 법정리인 성두리가 되었다.
고창읍성이 축성되기 이전의 조선 초기에 안산등(安山嶝) 허리에 기히 설기된 마을이 있었으나 고로들의 천문설에 의하면 어느 날 갑자기 벼락이 떨어져 풍비박산이 된 이후 1562년 죽계(竹溪·류춘영의 호)공의 사속(嗣續)인 류계가 진외가인 고창윤씨 윤본(尹苯·유면(柳沔)의 장인) 공의 유산을 물려받기로 외손봉사(外孫奉祠)할 때 상성에 터를 닦아 류씨촌을 조성함에 윤종손(尹宗孫·윤본의 아들)의 사위(조침(曺琛)·창령조씨 입향조)의 6세손 조의기(曺義起) 공이 성두마을의 좋은 지세를 찾아 중성에 터를 잡아 지금까지 자작일촌으로 번창하고 있다.
선지자 죽계공의 예지로 중성공두 형세의 깊은 뜻을 정립하여 대밭머리 터를 골라 지분당(知分堂)의 정자를 짓고 선비간의 진의를 소담하게 엮어내는 진솔회(眞率會)를 이어냈으니 가히 죽림칠현의 가둔지소(嘉遯之所)가 예 아니겠는가!
|
|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유덕근 고창농협장, 조합장직 사퇴 ‘번복’.. |
김사중 고창부안축협장, 선거법 위반 당선무효형 확정.. |
강풍 탄 산불, 정읍 금동마을 덮쳐.. |
꽃비 내리는 석정에서, 봄날의 기억을 걷다.. |
[인터뷰] 고창군 생활개선회 제16대 김현자 회장.. |
고창 바지락 집단폐사, 새만금 이후 반복된 경고.. |
“사시사철 김치, 고창에서 시작된다”.. |
정읍에 유아 전용 안전체험장 들어선다.. |
유기동물에게 따뜻한 정읍…입양 지원부터 펫티켓까지.. |
봄의 절정, 정읍에서 만나다.. |
“다름있소, 함께하오”…고창에서 피어나는 공존의 무대.. |
정읍 감곡 들녘에 피어난 변화…기계화와 국산 품종이 이끄.. |
정읍시 대표단, 독일 뮐하우젠 공식 방문…세계 혁명도시 .. |
정읍시, 한국가요촌 달하에 맨발걷기길 조성…9월 준공 목.. |
옛 정읍우체국 철거 착공…도시광장으로 재탄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