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광핵발전소 3호기, ‘교체 대신 용접’ 추진 논란
김동훈 기자 / 입력 : 2013년 01월 17일(목) 14:59
공유 :   
|
균열이 발생한 영광핵발전소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을 교체하지 않고 용접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용접 방식은 ‘땜질 처방’이라며, 핵발전소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부품 교체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영광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의 균열 정비를 위해 덧씌움보강용접을 하기로 결정하고 지난해 11월 말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승인을 요청한 것으로 7일 알려졌다. 덧씌움보강용접은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매끈하게 갈고 기계를 이용해 덧씌우기 용접을 하는 수리법이다. 제어봉 안내관은 원자로의 핵분열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마지막 안전장치로 안내관 균열로 인해 원자로에 제어봉을 넣지 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부품이다.
한수원이 부품 교체가 아닌 용접 방식을 택한 것은 시간과 비용 때문이다. 안내봉을 교체하려면 원자로 헤드 전체를 바꿔야 하며, 이 경우 최소 2~3년의 시간과 5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발생한다. 용접 방식으로 하면 40여일 만에 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광원전 민관합동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미국 핵발전소에서도 같은 부품에 의한 동일한 사례가 보고되는 등 제작 결함에 따른 균열일 수 있다”면서 “겨울철 전력 수요가 많더라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새 부품으로 교체한 뒤 가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균열 부위) 주변을 갈아내고 정밀특수용접을 실시하면 처음과 같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헤드 전체를 교체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된다”고 주장했다.
영광원전 민관합동대책위는 조만간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덧씌우기보강용접에 대한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조사단의 활동은 피폭 위험때문에 3호기 원자로 내부에서 이뤄지기 힘든 만큼 결함검사, 시험용접 참관 등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민간측이 요구하고 있는 합동조사단 외국 전문가 참여 문제는 한수원이 기술 유출 우려로 반대하고 있어 재논의 할 예정이다.
영광원전 3호기는 지난해 11월 말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에 제어봉 안내관 균열이 발견돼 정밀점검을 하고 있다. 국내 가동 원전에서 제어봉 안내관 균열사고가 나기는 영광 3호기가 처음이다.
|
|
김동훈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유덕근 고창농협장, 조합장직 사퇴 ‘번복’.. |
김사중 고창부안축협장, 선거법 위반 당선무효형 확정.. |
강풍 탄 산불, 정읍 금동마을 덮쳐.. |
꽃비 내리는 석정에서, 봄날의 기억을 걷다.. |
[인터뷰] 고창군 생활개선회 제16대 김현자 회장.. |
고창 바지락 집단폐사, 새만금 이후 반복된 경고.. |
“사시사철 김치, 고창에서 시작된다”.. |
정읍에 유아 전용 안전체험장 들어선다.. |
유기동물에게 따뜻한 정읍…입양 지원부터 펫티켓까지.. |
봄의 절정, 정읍에서 만나다.. |
“다름있소, 함께하오”…고창에서 피어나는 공존의 무대.. |
정읍 감곡 들녘에 피어난 변화…기계화와 국산 품종이 이끄.. |
정읍시 대표단, 독일 뮐하우젠 공식 방문…세계 혁명도시 .. |
정읍시, 한국가요촌 달하에 맨발걷기길 조성…9월 준공 목.. |
옛 정읍우체국 철거 착공…도시광장으로 재탄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