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철도 건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의하는 ‘서해안철도 건설 정책포럼’이 오는 3월18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윤준병·신영대·이원택·김원이·이개호·서삼석 국회의원을 비롯해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고창군, 군산시, 부안군, 목포시, 함평군, 영광군 등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주최·주관하며, 지역 발전을 위한 철도망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할 전망이다.
서해안철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포함될까
이번 정책포럼은 서해안철도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되며, 전국 철도망 구축의 밑그림이 되는 핵심 정책이다. 현재까지 서해안 지역은 철도 인프라가 낙후된 대표적인 지역으로 꼽히며, 수도권과 경부축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진 철도 정책에 대한 불균형이 지적돼 왔다.
서해안철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제시된다. 고속도로와 항만 중심의 서해안 물류망을 철도로 연결해 교통망을 다변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 논리다.
포럼에서는 연세대학교 김진희 교수가 발제를 맡아 서해안철도의 국가적 가치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관계자 및 철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서해안철도, 단순한 교통망 구축을 넘어
서해안철도는 단순한 지역 교통망 확충을 넘어 국가 산업구조와 지역 경제를 바꾸는 핵심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새만금, 군산, 목포를 잇는 서해안 산업벨트는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철도망이 구축될 경우 물류 경쟁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서해안 지역은 국내 대표적인 관광지가 밀집한 곳이다. 고창 선운산, 변산반도 국립공원, 새만금, 목포 근대문화유산, 영광 불갑사 등은 연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곳이지만, 대중교통이 부족해 관광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철도망이 구축되면 관광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균형발전 시험대, 정부의 선택은?
이번 포럼이 중요한 이유는 서해안철도 건설이 국가 균형발전과 연결된 정책적 사안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정부는 지역 균형발전을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인 투자는 수도권과 경부축에 집중되어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철도 인프라 역시 경부축에 비해 서해안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포럼을 주최하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지자체는 서해안철도가 국가 발전을 위한 필수 인프라임을 강조하고, 정부와 관계기관의 정책 결정을 촉구할 계획이다. 특히,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2026년 확정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번 포럼을 통해 서해안철도의 타당성이 부각되지 않으면 또다시 철도 정책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포럼에는 지역구 및 지역연고 국회의원,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전라남도지사, 지역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으로, 주민들의 관심과 여론의 힘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철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포함될 수 있을까
서해안철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철도 건설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며, 정부는 예산 배분의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다만,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정책 기조를 고려할 때 서해안철도의 필요성을 정부가 외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포럼은 서해안철도의 당위성을 다시 한번 부각하고,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서해안철도가 단순한 교통망 확충을 넘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축을 만드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정부의 정책 결정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