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적 정책 발굴에 나섰다. 시는 3월14일 올해 첫 ‘일자리창출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기존 공무원 중심의 ‘일자리정책추진단’에서 탈피해,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일자리창출위원회’로 새롭게 개편된 이후 처음 열린 회의다. 변화하는 고용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위원회에는 학계, 일자리 관련 공공기관, 소상공 기업, 언론, 시의회 등에서 활동 중인 8명의 외부 전문가가 위원으로 위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읍시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중심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4대 핵심 전략과 14개 세부 추진 전략이 논의됐다. 4대 전략은 ▲지역 일자리 창출 브릿지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 ▲신성장산업 육성을 통한 첨단 산업 일자리 확대 ▲상생형·맞춤형 공공일자리 창출·연계 ▲청년 취업 및 창업 지원책 확대 등이다.
또한 민간기업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장려하고 고용 분위기 확산을 위해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포상 추진’ 사업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시는 기업의 고용 기여도를 평가해 우수기업을 선정하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 고용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청년 인구 유출과 고령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자리 메이트(Mate)’ 사업을 추진해 구인·구직자의 만남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과 산업, 연구소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지-산-연 일자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기업의 구인난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시 일자리경제과(과장 김영심)는 “일자리창출위원회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하고, 청년·여성·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제안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