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 ⓒ 주간해피데이 | |
|
|
고창군을 포함한 서해안권 5개 시·군의회 의장들이 3월27일 고창읍행정복지센터에서 ‘서해안(새만금~목포) 철도’의 국가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채택하고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회견에는 김우민 군산시의장, 박병래 부안군의장, 조민규 고창군의장, 김강헌 영광군의장, 이남오 함평군의장이 참석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서해안 철도 건설이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핵심 사업임을 강조하며, 정부가 이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해안 철도는 서해·남해·동해를 잇는 이른바 ‘U자형 국가철도망’에서 유일하게 단절된 구간으로, 전북 새만금과 전남 목포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이날 회견은 조민규 고창군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됐으며, 최근 전북·전남 지자체의 공동 대응 움직임과 지역민의 열망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조 의장은 “서해안 철도는 단순한 숙원사업이 아니라 국가기간망 확충을 통한 국토 균형발전의 핵심”이라며 “이 철도망이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 시·군 의장들은 성명서를 통해 현재 국가철도망 계획에서 서해안권이 배제된 상황을 지적하며, 이는 호남 주민의 철도 접근권을 침해하고 지역의 발전을 가로막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서해안 철도가 제외된 국가계획은 우리 지역을 철저히 소외시키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지역 소멸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정부는 제5차 철도망 계획에 서해안 노선을 반영하고, 적극적인 행정·재정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우민 군산시의장과 박병래 부안군의장은 “서해안에서 기차 타고 서울 가는 날까지 함께 협력하겠다”며 지속적인 공동 대응을 약속했다. 김강헌 영광군의장과 이남오 함평군의장도 “서해안 철도가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없다는 건 알지만, 물류·관광 분야의 성장동력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며 “범국민운동과 정치권 결집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2026년부터 2035년까지 적용될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 중이다. 고창군은 지난해 11월부터 서해안 철도의 국가계획 반영을 위해 자치단체장 공동 기자회견, 군민 서명운동, 퍼포먼스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달 중순에는 8개 광역·기초지자체와 다수 국회의원이 참여한 ‘서해안 철도 건설 포럼’이 열리는 등 지역의 요구는 점차 조직적 대응으로 확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