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정읍녹색당 권대선(51) 운영위원장이 녹색당 중앙당으로부터 ‘올해의 당원상’을 수상했다. 수상은 지난 3월22일 녹색당 제12차 전국대의원대회(임시대표 이상현)에서 공식 발표됐다. 권 위원장은 동물학대 논란이 계속돼온 소싸움 폐지 운동을 이끌며, 전국 단위의 연대와 성과를 이끌어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권대선 운영위원장은 지난 2013년 녹색당에 입당해 2016년 정읍녹색당 창당을 주도했고, 지금까지 운영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그는 “녹색당은 대부분 생업을 병행하는 구조이기에, 해야 할 일은 많지만 선택과 집중이 필연적”이라며, “정읍녹색당은 ‘소싸움 예산 삭감’이라는 의제를 중심으로 전국 이슈로 확산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가 선택한 의제는 지금, 전국적 변화를 불러오는 촉매가 되었다.
그는 동물보호법을 근거로, 도박·유흥·오락 목적으로 동물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는 동물학대이며, 단지 ‘민속경기’라는 예외조항으로 소싸움이 허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전국 11개 지자체가 이 조항에 따라 예산을 편성해 소싸움 대회를 열고 있으며, 이는 사실상 공적자금으로 진행되는 동물 학대라고 비판해 왔다. 이에 따라 권 위원장은 2023년 2월, 녹색당 지역조직과 함께 국회 앞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폐지 운동에 돌입했다.
권 위원장은 국회, 정부청사, 경남 진주, 대구 달성군 등 소싸움 개최 지역을 직접 찾아다니며 기자회견과 반대 캠페인을 이어갔다. 그는 동물자유연대,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해방물결, 채식희망연대 등과 연대해 소싸움 국가무형유산 지정 무산, 예산 삭감 등 구체적 성과를 만들어냈다. 특히 2024년, 정읍시를 비롯해 완주군, 김해시, 함안군, 청도군 등 5개 지자체는 2025년도 예산에 소싸움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국가 차원에서도 변화가 일었다. 2025년 1월,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회는 소싸움의 무형유산 종목 지정에 필요한 가치 조사를 중단하기로 했다. 문화재 지정 절차를 사실상 중단시킨 이 결정은, 동물권 단체와 녹색당이 함께 이룬 직접적인 성과다. 권 위원장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의제를 선택해 집중한다면, 우리 동네가 세상을 바꾼다”는 믿음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그는 고창·영광 접경지역에 위치한 한빛원전 1·2호기의 수명 연장 반대 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탈핵·기후위기 대응 등,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정착시키기 위한 지역 기반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리가 사는 곳이 지구 전체를 위한 실천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그의 신념은 지금, 정읍이라는 지역 도시에서 꾸준히 그리고 끈질기게 현실로 이어지고 있다.
|